support
자료실
동작아이존은 아이들의 꿈을 위한 공간입니다.

초등학교 시기 아이들의 사회성이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고 또 아이들에게는 어떻게 알려주고 접근시켜야 할지 알아볼까요?

1. 사회성이란 무엇인가요?

  사전적 의미로 사회성이란 아동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성장하고 발달하는 동안에 그 사회의 언어, 사고, 감정, 행동 등을 포함하는 생활양식을 학습하여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건강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성향을 말합니다.
  사회성은 아동의 생활적응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강조됩니다. 사회성은 아동기의 중요한 발달과업으로 아동이 대인관계 속에서 긍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태도를 습득했을 때 사회적 성숙을 이루게 됩니다.
  따라서 사회성을 기른 아동은 대체로 사회적인 활동, 즉 집단 활동을 즐기며, 친구가 많고, 협동적이며, 인정이 많고, 남과 의견이 잘 맞으며 충돌이 적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대로 사회적인 활동을 기피하고, 필요 이상으로 수줍어하는 것은 비사회성을 지닌 아동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그렇다면 사회성발달과 관련하여 연령별로 요구되는 일반적인 특성에 대해 알아볼까요?

2. 아동기 아이들은 이런 모습이에요.

  아동기는 학교생활을 하는 시기로, 지적 능력의 발달과 함께 사회화의 폭이 넓어지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영유아기의 아이들은 절대적으로 부모에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이 시기에 들어서면서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범위가 가족에서 또래 집단으로 점차 확대됩니다.
  아동은 또래가 부모 보다 자신과 더 비슷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있어서 또래는 적절한 모델이 되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습니다. 또한 아동은 또래로부터 수용되고 인정받는 경험을 함으로써 부모가 제공할 수 없는 특별한 정서적 안정감을 갖게 되면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처럼 아동이 안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공감 능력과 이타심을 형성하는 것이 아동기에서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전 시기에 자신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했던 아동은 또래관계에서 일어나는 문제 해결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점차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이처럼 아동기에 형성한 공감능력은 부모-자녀 관계뿐만 아니라 또래관계에서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서 중요한 기초 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이러한 공감능력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부모로부터 충분히 공감 받는 경험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는 자신이 존중받고 있음을 느낌으로써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자신을 인정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부모로부터 경험한 긍정적인 공감은 더 나아가 아동이 타인의 입장에 귀를 기울일 수 있도록 하는 공감능력을 발전시키게 됩니다.

3. 사회성 발달을 위한 Tip

① 또래관계의 양도 중요해요.

★ 아동은 또래와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배우게 됩니다.
- 영유아기 부모에게 의존해 있던 아이들은 ‘또래’라는 새로운 환경을 접하게 됩니다. 또래와의 관계 속에서 아동은 사회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지식과 정보를 나누게 되고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게 됩니다. 아동들은 자신보다 발달이 조금 앞선 친구들이 하는 말과 행동을 통해 보고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자기보다 발달이 느린 친구나 동생을 도와주는 경험을 통해 자신감을 키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래관계에서 궁금한 점에 대해 함께 탐색하고 찾아보는 활동은 자율적이며 재미있는 학습경험을 갖게 합니다.


★ 자신의 의견이나 느낌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됩니다.
- 아동들은 성인과 갖는 상하 • 수직적인 관계와는 다르게 또래와는 동등한 사회적 유대 관계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아동들은 친구들과 놀면서 자신의 생각을 제안하거나 주장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친구의 의견에 따르거나 협상하게 됩니다. 이런 경험은 아동들로 하여금 다른 사람을 돕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해 주고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가질 수 있게 해 줍니다.

★ 자신이 해야 할 행동과 하지 않아야 할 행동을 구분하고 친구들에게 환영받는 행동을 하려고 노력합니다.
- 아동들은 친구들과 잘 놀다가도 쉽게 다투고, 감정을 풀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입히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런 과정에서 아동들은 친구와 의견이 다를 수도 있음을 알고, 싸우다가 화해하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유아들이 친구들에게 환영받기 위해 리더십이나 성공적인 사회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능력과 기술을 자연스럽게 배웁니다.

② 다양한 연령의 아동들과 놀이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아동은 나이가 조금 많은 아이와 함께 놀면 같은 연령의 또래와 어울렸을 때보다 훨씬 발전된 사회적 기술을 배우게 됩니다. 특히 형제가 없거나 또래 형제만 있는 경우 놀이터, 친구 집으로 방문 등을 통해 다양한 연령대의 친구들과 어울리는 시간을 많이 가져보며 상호작용 할 시간을 가져볼 수 있도록 해줍니다.

③ 박물관, 여행 등 다양한 경험 쌓는 것도 좋아요.
  친구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아동은 재미있는 아이입니다. 놀이가 지겨워졌을 때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는 아이의 주변에는 친구들이 늘 모여 들기 마련입니다. 이렇게 새로운 아이디어, 즉 창의력이 있는 아이가 되려면 다양한 경험으로 실험과 실패, 성공을 많이 해본 아이입니다. 스스로 판단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것을 보고 듣고 느끼고 만질 수 있도록 여러 곳을 견학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줍니다.

④ 아동이 싸울 때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시간과 권리를 주세요.
  싸움이 났을 때 혼자 해결하게 되는 경험은 아동에게 타협, 설득, 감정 조절과 같은 부분을 직접 경험하고 가르쳐 줄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아동은 보다 자립적인 아이로 성장할 수 있게 된다.




출처:  맑음 최명선 소장님, 한미현 상담실장님 글에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4 [8월 양육칼럼] 오은영박사 "혼내는 것을 교육이라고 착각하지 말자" file 관리자 2016.08.01 3981
93 [2019년 7월 양육칼럼] 감정 표현을 잘 못하는 아이 file 관리자 2019.06.26 2196
92 [2월 양육컬럼] 아이 기질별 맞춤 양육법! file 관리자 2016.02.18 2178
» [10월 양육칼럼] 아동기 우리아이 사회성 발달을 위해서! 관리자 2016.10.04 2074
90 [11월 양육칼럼] 핑계, 변명이 많은 아이의 교육법은? 관리자 2016.11.01 1866
89 [2017년 10월 양육칼럼] 형제간의 다툼 관리자 2017.11.21 1750
88 [2018년 2월 양육칼럼] 행복한 자녀 양육 '삽질해야 큰다' file 관리자 2018.02.19 1449
87 [2018년 12월 양육칼럼] 아이와의 상호작용 핵심은 'Serve and Return' 관리자 2018.12.04 1423
86 [2018년 9월 양육칼럼] 짜증내는 아이, 이유 묻지 말고 '공감'부터 관리자 2018.08.31 1369
85 [2017년 1월 양육칼럼] 아이와 공감하는 3단계 대화법 관리자 2017.01.02 1328
84 [2018년 5월 양육칼럼] 부모의 미해결된 과제 관리자 2018.05.02 1313
83 [2019년 3월 양육칼럼] 아이에게 스마트폰 안 줄 자신 있습니까? 관리자 2019.02.28 1257
82 [9월 양육칼럼] 아이 정신건강의 열쇠! 부부관계발전을 위한 자기보기 관리자 2016.09.01 1224
81 [7월 양육컬럼] 낙관적인 아이, 긍정의 힘 기르기 관리자 2016.06.30 1215
80 [5월 양육컬럼] 좋은 부모 10계명 file 관리자 2016.04.29 1190
79 [3월 양육칼럼] 새학기증후군에 대처하는 부모의 현명한 자세 file 관리자 2016.03.16 1183
78 [12월 양육칼럼] 직장맘을 위한 양육 처방전 관리자 2016.11.25 1178
77 [4월 양육칼럼] 완벽한 부모야말로 최고의 재앙 file 관리자 2016.04.05 1113
76 [2017년 9월 양육칼럼] 어떤 아이가 행복한 어른이 될까요? file 관리자 2017.08.30 1101
75 [2017년 8월 양육칼럼] 컴퓨터 게임과 스마트폰, 어떻게 해야 할까 관리자 2017.08.01 1070